본문 바로가기
ETF 정리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 한국형 SCHD 배당ETF

by 두정동민증검사 2023. 7. 29.

설명 : 한국판 SCHD. 10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한 미국 주식 중 ROE, 현금흐름부채비율, 배당수익률, 5년 배당성장률 등 4가지 펀드멘털을 고려하여 상위 100종목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해당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월배당 ETF 입니다.

 

보수 : 연 0.01% ( 집합투자 : 0.0005% AP/LP : 0.0005% 신탁 : 0.005%, 일반사무 : 0.004%)

 

과세 : 국내상장 해외ETF 과세와 동일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구성종목

상위 20개 종목

 

주가추이:

 

분배금 현황

분배금 지급 현황

 

정리

  연금계좌에서 적립식으로 모아기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연금계좌에서는 배당소득세가 만 55세 이후 연금소득세로 이연되기 때문에, 배당금을 재투자하면서 과세이연의 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ETF 목적 자체가 S&P500 기업중 배당금을 종목선정 기준으로 잡았을뿐, 기본적으로 S&P500(SPY) 주가흐름과 동등합니다. 연금계좌에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한 투자로 적립식으로 모아가는건 추천드리지만, 재산을 분산투자할때 미국주식과 별개라고 생각할경우에는 자칫 미국주식 비중이 올라가는 실수를 저지를수 있습니다.

SCHD vs SPY vs QQQ

  저도 현재 연금계좌에서 현금비중 = 50% / 금투자 = 5% / 미국채 = 10% / S&P500 = 15% / 농수산물 투자 = 7% 수준으로 미연준 금리인상 기조가 멈추고 있는 만큼, 아주 서서히 조금씩 국채 비중을 올리면서, 배당금 투자목적으로 조금씩 사모을 예정입니다. 추가로 21년 이후 본격적인 금리인상시기를 SPY, QQQ보다는 훨씬 잘버틴것은 고무적으로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현금유동성이 아직까지는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적을것으로 봤을때, 밸류에이션이 높은 기술주를 투자하는것보다는, 좋은 투자 선택이 될수 있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