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 시카고 상품거래소 (CBOT)에 상장된 옥수수, 콩, 밀 선물가격에 연동되는 ETF
총보수(연) : 0.55% (지정참가회사 : 0.020%, 집합투자 : 0.490%,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20%)
과세 :
매매차익 -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분배금 -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기초지수 : S&P GSCI Grains Select Index Excess Return
특징1 : 환헷지 상품
환헷지를 통해 환율 변동으로 인한 수익 변동을 최소화 시켰습니다. 농산물 원자재 가격은 달러의 가치와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헷지를 하지 않는 경우 농산물 가격의 상승이 있더라도 제대로된 수익을 얻을수 없게 됩니다.
특징2 : 선물투자 및 채권동시 투자
현물 투자시 보관비용, 거래비용이 추가 발생. 선물투자를 통해 증거금만으로 농산물 가격 상승의 이익을 챙길수 있습니다. 추가로 국내 우량채권에 투자하면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수 있습니다.
CASE#1 콘탱고 상황 - (차근원물 가격) > (최근원물 가격) // (현물가격) < (선물가격)
선물만기를 연장하기 위해, 최근원물을 매도하고, 차근원물을 매수하게 되는데, 그때 교체를 하는 동안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CASE#2 백워데이션 상황 - (근원물 가격) > (차근원물 가격) // (현물가격) > (선물가격)
특징3 : 3대 농산물 분산투자효과 (옥수수, 밀, 콩)
단기적인 소비량과 생산량 변동에 따라 가격영향이 있을수 있습니다. 농작물 종류에 따른 분산투자 효과도 함께 누릴수 있습니다.
종합 :
기본적으로 농산물 가격에 연동되어있는 상품이긴 하나, 선물거래가 주로 이뤄지는 원자재 상품인 만큼, 롤오버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고 정리하면 될것 같습니다. 최근 러-우 흑해 공물협정 파기에 따른 곡물가격 상승, 엘리뇨 현상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어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최근 5년간 MDD그래프를 봤을때도 변동성이 큰편이라고 생각되어, 소액으로 분산투자할 예정입니다.
'ETF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DEX K-친환경선박액티브] ETF - 조선주 투자 ETF (0) | 2023.07.26 |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 미국채 투자 + 환헷지형 상품 (0) | 2023.07.25 |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ETF - 증권계좌 속에 파킹통장 (0) | 2023.07.24 |
[ACE KRX금현물] ETF - 금 현물에 직접투자 하고 싶을때 (0) | 2023.07.23 |
[SOL 미국S&P500] ETF - S&P500 추종 ETF + 월배당 ETF (0) | 2023.07.22 |
댓글